바이오 신약으로 가는 길 1

신약 개발자 포럼 2009. 3. 13. 04:14
바이오 신약 시장 규모를 통해 본 바이오 신약 개발의 동향

세계 최대 시장이라고 볼 수 있는 미국 시장의 세일즈 통계를 통해 바이오 신약 시장의 규모를 가름할 수 있다. 다음은 2008년 미국 시장 통계이다. 참고 문헌은 pipelinereview.com 이다.

바이오 신약은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는 데 생물의학적인 특성과 타겟 시장의 신약군을 통해 분류한 top 13은 아래와 같다. 참고로 영문 명칭을 사용했다.

1. Anti-TNF antibodies
2. Major cancer antibodies
3. Insulin and Insulin analogies
4. Erythropoietins
5. Interferon beta
6. G-CSF
7. Recombinant coagulation factors
8. Enzyme replacement
9. Human growth hormone
10. Interferone alpha
11. Ophthalmic antibody
12. Antiviral antibody
13.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위 13 종의 바이오 신약군이 작년 한해 미국 시장에서 벌어 들인 금액은 자그마치 805 억 달러이다. 우리 돈으로 환산하면 120조원 시장이 된다. (금일 1500원/달러 기준)

1, 2위를 다투는 항 TNF 항체 신약 (Anti-TNF antibodies) 시장과 항암 항체 신약 (Major cancer antibodies) 시장은 각각 작년 한해 163억 달러 (24 조원) , 156억 달러 (23 조원) 으로서 전체 북미 바이오 신약의 주력 종목이라고 할 수 있다. 신규 바이오 신약이 시장에 진입해서 1%만 점유해도 매년 각각 2300 - 2400 억원을 벌어들일 수 있다는 상상을 할 수 있다.

참고로 위의 1, 2위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바이오 신약들을 둘러본다면 항 TNF 항체 신약 시장에 Enbrel, Remicade, Humira, Cimzia가 있고, 항암 항체 신약 시장에 Rituxan, Herceptin, Avastin, Erbitux (그 유명한 스토리를 갖고 있는 지금은 Eli Lilly 소속이 되어버린 ImClone의 대표 주자), Vectibix 가 있다.

문제는 엄청난 시장 규모만 쳐다보면서 바이오 신약 개발에 관해 마냥 낙관적일 수 있는 가 하는 것이다.

빅 파마들 조차도 시장 진입과 유지를 위해 속된 말로 머리 깨지게 노력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어느 하나 쉽게 개발되어 시장에 진입한 경우가 없고 다들 사연들이 많기 때문이다.
일단 하나의 신약이 시장에 진입해도 하나의 빅 파마가 모든 것을 관리하기 힘들기 때문에 빅 파마들의 연합군이 참여하게 된다. 바이오 신약 품목 별 top 5에 해당되는 Enbrel, Remicade, Epogen, Rituxan, Humira 만 봐도 각각 여러 빅 파마들이 부분별로 연합해서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물론 이 연합군들은 신약 개발 초기부터 네트웤을 만들어가기 때문에 후발 주자들은 도저히 혼자서 헤쳐나갈 수 가 없다는 것도 특징 중 하나이다.

차후 기회가 되면 바이오 신약을 분야 별, 품목 별로 분석해보겠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언급하고 싶은 것은 빅 파마들만이 갖고 있는 성공 비결이 비즈니스 개발 능력과 노하우이라는 사실이다.

이 비즈니스 개발 능력이 바로 빅 파마들이 꾸준히 시장을 장악할 수 있는 근본이 되고 준척급 파마들이 빅 파마로 승격이되는 원동력이 된다. 이 비즈니스 개발을 수행하는 인적 자원들은 기본적으로 산전 수전을 통해 축적된 실전 경험, 명문대 졸업을 통해 얻어진 튼튼한 학문적 배경과 네트웤으로 무장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이공계 출신으로서 신약 발굴, 개발 단계부터 임상 실험, 지적 특허, 시장 관리까지 모든 분야를 설계하고 운영하고 있다. 이 인적 자원들은 그 조직 자체가 꾸준히 업그레이드를 통해 진화과정을 거치면서 어떠한 경제적 한파에도 살아 남아 기업을 지켜나가는 철갑 기사 군단이라고 할 수 있다. 어쩌면 바로 이들이 신약 자체를 개발하고 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바로 이 인적 자원이 한국 국내에서는 거히 찾아보기 힘든 취약 분야라 하겠다. 안타깝게도 미국이나 유럽, 일본의 빅 파마들의 비즈니스 개발 인적 자원을 뒤져봐도 한국인이나 한국계가 드물기 때문에 스카웃을 통해 국내로 끌어들이기에도 한계가 있다. 이 비즈니스 개발 인적 자원은 하루 아침에 확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들을 어떻게 키워내고 확보할 수 있는 가가 바로 지금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한국 바이오 신약 개발의 첫 과제이다. 미안하지만 대학이나 정부 출연연 교수나 학자, 연구원들을 끌어 모아 해결 될 문제가 아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