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54건

  1. 2009.03.13 바이오 신약으로 가는 길 1
  2. 2009.03.12 다음 빅 딜은 어디?

바이오 신약으로 가는 길 1

신약 개발자 포럼 2009. 3. 13. 04:14
바이오 신약 시장 규모를 통해 본 바이오 신약 개발의 동향

세계 최대 시장이라고 볼 수 있는 미국 시장의 세일즈 통계를 통해 바이오 신약 시장의 규모를 가름할 수 있다. 다음은 2008년 미국 시장 통계이다. 참고 문헌은 pipelinereview.com 이다.

바이오 신약은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는 데 생물의학적인 특성과 타겟 시장의 신약군을 통해 분류한 top 13은 아래와 같다. 참고로 영문 명칭을 사용했다.

1. Anti-TNF antibodies
2. Major cancer antibodies
3. Insulin and Insulin analogies
4. Erythropoietins
5. Interferon beta
6. G-CSF
7. Recombinant coagulation factors
8. Enzyme replacement
9. Human growth hormone
10. Interferone alpha
11. Ophthalmic antibody
12. Antiviral antibody
13.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위 13 종의 바이오 신약군이 작년 한해 미국 시장에서 벌어 들인 금액은 자그마치 805 억 달러이다. 우리 돈으로 환산하면 120조원 시장이 된다. (금일 1500원/달러 기준)

1, 2위를 다투는 항 TNF 항체 신약 (Anti-TNF antibodies) 시장과 항암 항체 신약 (Major cancer antibodies) 시장은 각각 작년 한해 163억 달러 (24 조원) , 156억 달러 (23 조원) 으로서 전체 북미 바이오 신약의 주력 종목이라고 할 수 있다. 신규 바이오 신약이 시장에 진입해서 1%만 점유해도 매년 각각 2300 - 2400 억원을 벌어들일 수 있다는 상상을 할 수 있다.

참고로 위의 1, 2위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바이오 신약들을 둘러본다면 항 TNF 항체 신약 시장에 Enbrel, Remicade, Humira, Cimzia가 있고, 항암 항체 신약 시장에 Rituxan, Herceptin, Avastin, Erbitux (그 유명한 스토리를 갖고 있는 지금은 Eli Lilly 소속이 되어버린 ImClone의 대표 주자), Vectibix 가 있다.

문제는 엄청난 시장 규모만 쳐다보면서 바이오 신약 개발에 관해 마냥 낙관적일 수 있는 가 하는 것이다.

빅 파마들 조차도 시장 진입과 유지를 위해 속된 말로 머리 깨지게 노력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어느 하나 쉽게 개발되어 시장에 진입한 경우가 없고 다들 사연들이 많기 때문이다.
일단 하나의 신약이 시장에 진입해도 하나의 빅 파마가 모든 것을 관리하기 힘들기 때문에 빅 파마들의 연합군이 참여하게 된다. 바이오 신약 품목 별 top 5에 해당되는 Enbrel, Remicade, Epogen, Rituxan, Humira 만 봐도 각각 여러 빅 파마들이 부분별로 연합해서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물론 이 연합군들은 신약 개발 초기부터 네트웤을 만들어가기 때문에 후발 주자들은 도저히 혼자서 헤쳐나갈 수 가 없다는 것도 특징 중 하나이다.

차후 기회가 되면 바이오 신약을 분야 별, 품목 별로 분석해보겠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언급하고 싶은 것은 빅 파마들만이 갖고 있는 성공 비결이 비즈니스 개발 능력과 노하우이라는 사실이다.

이 비즈니스 개발 능력이 바로 빅 파마들이 꾸준히 시장을 장악할 수 있는 근본이 되고 준척급 파마들이 빅 파마로 승격이되는 원동력이 된다. 이 비즈니스 개발을 수행하는 인적 자원들은 기본적으로 산전 수전을 통해 축적된 실전 경험, 명문대 졸업을 통해 얻어진 튼튼한 학문적 배경과 네트웤으로 무장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이공계 출신으로서 신약 발굴, 개발 단계부터 임상 실험, 지적 특허, 시장 관리까지 모든 분야를 설계하고 운영하고 있다. 이 인적 자원들은 그 조직 자체가 꾸준히 업그레이드를 통해 진화과정을 거치면서 어떠한 경제적 한파에도 살아 남아 기업을 지켜나가는 철갑 기사 군단이라고 할 수 있다. 어쩌면 바로 이들이 신약 자체를 개발하고 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바로 이 인적 자원이 한국 국내에서는 거히 찾아보기 힘든 취약 분야라 하겠다. 안타깝게도 미국이나 유럽, 일본의 빅 파마들의 비즈니스 개발 인적 자원을 뒤져봐도 한국인이나 한국계가 드물기 때문에 스카웃을 통해 국내로 끌어들이기에도 한계가 있다. 이 비즈니스 개발 인적 자원은 하루 아침에 확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들을 어떻게 키워내고 확보할 수 있는 가가 바로 지금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한국 바이오 신약 개발의 첫 과제이다. 미안하지만 대학이나 정부 출연연 교수나 학자, 연구원들을 끌어 모아 해결 될 문제가 아니다.


:

다음 빅 딜은 어디?

신약 개발자 포럼 2009. 3. 12. 05:52
몇달 전 부터 떠돌던 소문들이 하나 하나 들어맞아 가는 가운데, 다음 빅 딜이 어디가 될 것인가에 더 관심이 많다.

우연인지도 모르겠지만 대부분의 거대 다국적 제약 기업들의 블록버스터 신약들의 특허들이 몇년 안에 만료되는 상황이 벌어지면서, 일단 현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준척급 제약 기업들에 대한 쟁탈전이 벌어진 지 6개월째 접어들고 있다.

그 첫 신호탄에 해당하는 Eli Lilly의 ImClone 인수, 그리고 Pfizer의 Wyeth 인수에 이어, 이번주 Merck & Co가 Schering Plough 을 인수하자 가장 아쉬워한 기업은 Johnson & Johnson 이었다. Merck 와 J&J 두 기업 모두 Schering에 관심이 많았는 데 결국 Schering은 인수액을 더 많이 써낸 Merck를 택했기 때문이다. 그것도 불과 (?) 10 ~ 20 억달러 차이로 말이다. 411 억 달러의 인수액으로 보면 불과겠지만... 더군다나 J&J는 Wyeth에도 관심이 있었지만 Pfizer에게 빼앗겨버린 바 있고... 어쩌면 마음이 있는 건지 없는 건지가 궁금하기도 하다.

일단 Eli Lilly, Pfizer, Merck가 일을 치뤘으므로 이제 남아있는 인수 대상은 점점 좁아지고 있다. 얼마전 까지 인수 대상이 되어왔던 기업을 보면 Biogen idec, Amgen, Schering, BMS, Wyeth, Shire, Genentech으로 압축될 수 있었다. 하지만 일단 Wyeth, Schering은 넘어갔고, Genentech은 Roche가 찜을 한 것이나 마찬가지니까 남은 Biogen, Amgen, BMS, Shire를 놓고 거대 다국적 기업인 Novartis, AstraZeneca, Sanofi-Aventis, J&J가 다툴 것이 분명해 보인다.

하나 궁금한 것은 GlaxoSmithKline의 행보이다. 어떠한 인수 합병에도 전혀 관심이 없기 때문이다. 워낙 낙관적인 미래를 가져서 그런 것일까? (GSK는 5년내에 Pfizer를 제치고 세계 제약 기업 순위 1위로 올라 설 것이라고 예측된 바 있다.) 오히려 몇몇 거대 기업들은 준척급을 인수하는 대신 시장성있는 신약 후보를 가진 중간 이하급의 기업을 인수 대상으로 물색하고 있다는 소문이다.  

암튼, 준척급을 인수하는 것이 정확한 비즈니스 모델일지 아닐 지는 몇년 내에 밝혀질 것이고, 재밌는 것은 준척급 기업들이 거대 기업에 인수되면서 멀쩡한 (?) 인력들이 감원 퇴출을 당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들이 쏟아져 나오면 가뜩이나 신규 인력들이 새로운 직장을 얻는 데 힘든 가운데 더더욱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중간급 기업들이 거대 기업에서 경험을 쌓은 좋은 인력을 얻을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할 것이다.


: